본문 바로가기

주식 이야기

비트코인의 시대는 지났다, 이제는 도지코인 (Dogecoin)!

반응형
비트코인도 아니고 도지코인은 또 뭐야??

비트코인도 아니고 도지코인은 또 뭐야??

도지코인 (Dogecoin), 요즘 가장 핫한 암호화폐를 하나만 뽑으라면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도지코인을 꼽지 않을까 싶습니다. 암호화폐에 관심이 없으셨던 분이라면 다소 생소할 수 있기에 먼저 간단하게 도지코인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도지코인 웹사이트 - https://dogecoin.com/

도지코인, 번역하면 댕댕이 코인 혹은 멍뭉이 코인 정도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강아지를 의미하는 "Dog"에 "e"를 추가해 귀엽게 부르는 말이며, 위 이미지에 나온 시바견이 도지코인의 상징입니다. 사실 도지코인은 2013년 말에 도입된 암호화폐로, IBM 출신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두 명(Billy Markus와 Jackson Palmer)이 함께 개발했습니다.


도지코인은 공급이 무제한인 암호화폐여서 가격이 사실상 1원도 되지 않았습니다. 처음 도입됐을 때 가격은 $0.000421 (USD)이었으며, 매년 52억 개가 생산됩니다. 자체 인플레이션을 유도해 가치가 하락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죠. 개발자들이 비트코인의 열풍을 풍자하기 위해 유머 요소를 추가해 장난으로 만든 코인이라 금전적 수익을 기대하지 않았던 것이 특징입니다. 실제로 개발자 중 한 명인 빌리 마커스는 2015년에 중고차(혼다 시빅)를 구매하기 위해 자신이 보유한 모든 도지코인을 처분했다고 합니다.


이번 년 도지코인 가격 변화


1월 25일 기준 $0.008521 (USD), 즉 1센트도 안 하던 가격이 4월 중순에 40센트까지 대폭 상승했습니다. 3달 사이 가격이 거의 50배 상승했는데, 비트코인 추종자들이 강조하는 희귀성이 없고 장난으로 만든 화폐가 상승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의문이 제기됩니다. 이번에도 관종*이 원인 제공을 했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


"말그대로" - 도지코인의 가격이 달까지 치솟았다는 의미를 가진 밈 (Meme)을 올린 엘런 머스크


2월 8일 하루에만 수차례 연이어 도지코인을 언급한 엘런 머스크


도지코인의 가격 상승 이유

테슬러의 CEO이자 '테크노킹 (Technoking of Tesla)'인 엘런 머스크*는 이전부터 트위터에서 도지코인을 자주 언급해왔습니다. 영향력이 큰 만큼, 그의 발언에 많은 사람들이 주목하며 도지코인을 대거 매수해 수익을 챙기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작년 12월부터 머스크의 도지코인 언급이 폭발적인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습니다.


도지코인의 시가총액은 한화로 56조까지 상승하며, 잠시 동안 암호화폐 시가총액 4위까지 올랐습니다. 특히 국내에서는 4월 16일에만 17조억 어치의 도지코인이 매수되었다고 합니다. 물론 무분별한 투자를 옹호하는 것은 아니지만, 머스크의 발언이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부인할 수 없습니다. 그의 발언은 농담이었으나, 과거 게임스탑 사태를 고려하면 큰 파장을 예상하지 못했을까 하는 의문이 듭니다.


엘런 머스크의 긍정적인 발언 외에도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의 나스닥 상장 등 여러 호재로 인해 도지코인의 가격이 급격히 상승했습니다. 또한, 접근성이 좋다는 점도 한몫했습니다. 영국 투자업체 프리트레이드의 데이비드 킴벌리는 "가상화폐 투자에서 맹목적으로 시장 흐름을 따르는 '더 큰 바보 이론'이 나타나고 있다"며 거품 붕괴 가능성을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2021년 4월 22일 기준으로 도지코인은 30센트선이 붕괴되었습니다. 현재 진행형이라 단정짓기 어렵지만 당장은 하락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암호화폐 시장 전반의 부정적 뉴스와 함께 연준의 파월 의장의 "비트코인은 투기 대상일 뿐" 발언, 미국 재무부의 암호화폐 돈세탁 조사 루머, 나스닥 상장 코인베이스 임원 주식 매도 사건, 중국 신장 정전 사태 등 여러 요인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글을 마치기 전에..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도지코인은 일반 암호화폐와 다릅니다. 생산량이 무제한이기 때문에 희귀성이 없으며, 결정적으로 장난 삼아 만들어진 암호화폐입니다. 투자 시에는 본인의 판단이 가장 중요하다는 점을 잊지 마세요. 모두 스마트한 투자자가 되시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