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이야기/주식 시작하기 [기초]

미국 주식을 사보자 - ETF

반응형
미국 주식을 사보자 ETF

통장에 돈을 두고있긴 너무 아쉽다!

아마 한 번쯤은 주식을 시작하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지만, 어떤 주식을 사야 할지 몰라 고민했던 시기가 있었을 것입니다. 저 역시 초반에는 그런 경험이 있었습니다. 많은 고민 끝에 어디선가 주워들은 정보로 버크셔 해서웨이(BRK.B) 주식 5주를 사놓고 -1% 손실에 울상을 지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밤새도록 주가를 지켜보며 안절부절못하고, 팔아야 하나 고민하던 제 모습이 떠올라 얼굴이 뜨거워지는 기분이 드네요.

 

요즘은 많이 잠잠해졌지만, 코로나 이후에는 "주식을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어떤 주식을 사야 할까?"라는 질문이 정말 많았습니다.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신규 투자자들이 대거 유입되었던 시기였죠.

 

저는 주식 투자에 있어서 상당히 보수적인 편입니다. 수익을 내는 것보다 손해를 보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생각으로 주식을 시작했고, 지금도 단기 투자보다는 장기 투자를 원칙으로 삼고 있습니다. 또한, 주식 시장은 제로섬(Zero-sum) 게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정보를 접할 때마다 의심하고 또 의심하는 습관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신중한 성향 덕분에 큰 손실 없이 꾸준히 버틸 수 있었지만, 반대로 수익의 기회를 놓친 적도 많았습니다. 그래서 연평균 수익률이 10% 내외였는데, 이는 안정적인 수익을 올렸다는 의미이면서도 동시에 더 큰 수익을 얻지 못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물론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주식을 오래 해보신 분들은 손실 없이 꾸준한 수익을 내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잘 아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최근 매그니피센트 7(Magnificent 7: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알파벳), 아마존, 테슬라, 엔비디아, 메타)과 같이 변동성이 큰 기업들이 많아지면서 단기적으로 엄청난 수익을 내신 분들도 많습니다. 그런 흐름 속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수익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는 점을 이해해 주시길 바랍니다.

 

제가 오늘 이 글을 쓰는 이유는, 혹시라도 통장에 돈을 그냥 두기엔 아쉽고, 그렇다고 투자를 하자니 겁이 나는 분들에게 이런 방법도 있다는 점을 소개해 드리고 싶어서입니다. 저 역시 어릴 적에는 적금이나 예금 외에는 다른 투자 방법을 몰라서, 조금이라도 더 높은 이자율을 주는 은행을 찾아 열심히 옮겨 다녔던 기억이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주식을 시작하기 전에 2~3년 이내에 큰 지출이 예상된다면 주식 투자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주식은 반드시 여유 자금으로 투자해야 하며, 최소 5년 이상 손대지 않아도 되는 돈으로 투자해야 합니다. 이렇게 하면 마음의 부담을 덜고, 보다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을 것입니다.

 

네, 맞습니다. 물론 시드머니는 중요합니다. 시드머니가 클수록 같은 수익률을 기록하더라도 절대적인 수익 금액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저는 시드머니를 모으는 데만 집중하다가 주식시장 진입 시기가 늦어지는 것도 문제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소액이더라도 일찍 시작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믿습니다. 아래 차트를 보시면 제가 왜 시기가 더 중요하다고 말하는지 조금은 공감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10년 전에 주식을 사놨다면...

이런 생각 많이들 해보셨죠? 먼저, 2015년에 아래 ETF들에 $1,000을 투자하고 이제껏 잊고 있다가 이제야 계좌를 열어봤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 QQQ - 나스닥 100 지수를 추종하는 인베스코(Invesco)의 QQQ
  • TQQQ - 나스닥 100 지수를 3배로 추종하는 레버리지 ETF
  • SQQQ - 나스닥 100 지수를 3배로 역추종하는 인버스 레버리지 ETF
  • VOO -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뱅가드(Vanguard)의 VOO
  • SPY -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SSGA의 SPY
  • SOXL - 반도체 기업을 3배 레버리지로 추종하는 Direxion의 SOXL

코스닥과 코스피는 이미 익숙하실 테니 빠르게 넘어가겠습니다.


먼저 연간 수익율입니다. 

연도 QQQ TQQQ SQQQ VOO SPY SOXL 코스닥 코스피
2015 9.45% 17.16% -37.50% 1.33% 1.24% -20.60% 26.42% 2.39%
2016 7.10% 11.40% -30.13% 12.17% 12.00% 123.56% 8.45% 3.32%
2017 32.67% 118.05% -58.73% 21.77% 21.70% 141.75% 26.44% 21.76%
2018 -0.13% -19.78% -22.08% -4.50% -4.57% -39.06% -15.37% -17.28%
2019 38.96% 133.83% -66.60% 31.37% 31.22% 231.75% 25.01% 7.67%
2020 48.62% 110.06% -86.40% 18.32% 18.33% 70.02% 44.63% 30.75%
2021 27.42% 82.99% -60.87% 28.79% 28.73% 118.85% 6.81% 3.63%
2022 -32.58% -79.09% 82.40% -18.19% -18.17% -85.67% -34.29% -24.89%
2023 54.85% 198.05% -73.61% 26.32% 26.18% 227.03% 18.73% 18.73%
2024 25.58% 58.27% -49.79% 24.98% 24.89% -12.31% 9.63% -9.63%
총수익 211.94% 630.94% -403.31% 142.36% 141.55% 755.32% 116.46% 36.45%
연평균 수익 21.19% 63.09% -40.33% 14.24% 14.16% 75.53% 11.65% 3.65%

 

 

다음은 2015년에 $1,000(2025년 3월 7일 기준 약 1,446,000원)을 투자했을 때 자산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보기 쉽게 달러 기준으로 변환한 것입니다.

  QQQ VOO SPY 코스닥 코스피
2015  $          1,094.50  $  1,013.30  $  1,012.40  $    1,264.20  $  1,023.90
2016  $          1,172.21  $  1,136.62  $  1,133.89  $    1,371.02  $  1,057.89
2017  $          1,555.17  $  1,384.06  $  1,379.94  $    1,733.52  $  1,288.09
2018  $          1,553.15  $  1,321.78  $  1,316.88  $    1,467.08  $  1,065.51
2019  $          2,158.26  $  1,736.42  $  1,728.01  $    1,834.00  $  1,147.23
2020  $          3,207.60  $  2,054.53  $  2,044.75  $    2,652.51  $  1,500.01
2021  $          4,087.12  $  2,646.03  $  2,632.21  $    2,833.15  $  1,554.46
2022  $          2,755.54  $  2,164.72  $  2,153.94  $    1,861.66  $  1,167.55
2023  $          4,266.95  $  2,734.47  $  2,717.84  $    2,210.35  $  1,386.24
2024  $          5,358.44  $  3,417.54  $  3,394.31  $    2,423.21  $  1,252.74
총수익  $          4,358.44  $  2,417.54  $  2,394.31  $    1,423.21  $     252.74
연평균 수익  $              435.84  $     241.75  $     239.43  $        142.32  $        25.27

 

 


어떤가요?

특정 주식을 고르지 않고 나스닥, S&P500, 코스피, 코스닥을 추종하는 ETF에 장기 투자했다면 수익률이 꽤 좋지 않나요? 단순히 예금이나 적금에 돈을 넣어두는 것보다 훨씬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ETF란?

자, 순서가 조금 바뀐 것 같지만, ETF는 Exchange Traded Fund의 줄임말로, 특정 지수를 추종하는 펀드의 한 종류입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SPY는 S&P500을 추종하는 ETF로, S&P500 기업의 주식을 조금씩 사서 패키지로 묶어 하나의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물론 각 종목의 비중은 다를 수 있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참고해 주세요. 전체 펀드의 약 35%가 아래와 같은 주식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정확히 어떤 주식을 어떤 비중으로 보유하고 있는지는 ETF마다 공개되어 있으니, 수수료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 본인의 투자 성향에 맞는 ETF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혹시라도 나스닥, S&P와 다우지수의 차이가 궁금하시다면 이 글을 참고해주시길 바랍니다 (https://eff-ort.tistory.com/11).

 

 

 

물론 모든 투자에는 리스크가 따릅니다. 장기투자가 반드시 수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시장이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 흐름을 보여온 점을 고려할 때, 종목 선택이 어려운 분들은 먼저 ETF 투자부터 시작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내가 죽으면 전 재산의 90%는 S&P500을 추종하는 인덱스 펀드에, 10%는 채권에 투자하라"


워런 버핏이 2013년 작성한 유서에 이렇게 적혀 있었다고 합니다. 물론 2024년 4분기에 보유하고 있던 SPY와 VOO를 전량 매도하긴 했지만, 이는 주식에 대해 잘 모르던 아내를 위한 조언이었기에, 주식 투자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에게도 충분히 적용할 만한 이야기라고 생각됩니다.

 

마지막으로로 S&P와 NASDAQ의 차트입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주식 시장이 항상 상승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2010년 이후로는 눈에 띄는 상승이 있었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


 

 

REITs란 무엇일까? - 1

REITs: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흔히 투자 관련 기사나 방송을 볼 때, 리츠라는 단어를 들어보신 적이 있을 실 것 같습니다. "요즘 같은 시기에는 리츠에 꼭 들어가셔야 합니다", "부동산이 물가상승

eff-ort.tistory.com

 

반응형